요즘 장애인 이동권으로 논란이죠, 그런데 장애인 이동권은 '장애인'만을 위한 걸까요? <br /> <br />장애인 이동권 투쟁은 지난 2001년 장애인 노부부가 오이도역에서 장애인 리프트로 이동하다 7미터 아래로 추락해 사망한 참사 이후 본격적으로 시작됐는데요. <br /> <br />이 사건이 일어난 20년 전만 해도 서울 지하철역의 엘리베이터 설치율은 13.74%. <br /> <br />지금은 지난달 기준으로 93.6%까지 훌쩍 높아졌습니다. <br /> <br />당장 오늘도 비장애인이지만 다리가 불편하거나, 짐이 많아 지하철역에서 엘리베이터 타신 분들 있으실 텐데요, <br /> <br />이렇게 교통약자나 시민들이 당연하게 사용하고 있는 지하철 내 엘리베이터는 어떻게 보면 장애인들의 권리 투쟁으로 얻은 결과인 셈이죠. <br /> <br />저상버스 역시 장애인 이동권 투쟁으로 도입됐는데요. 장애가 없더라도 높은 계단을 오르내리기 힘든 노인이나 어린이도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고, 유아차를 끌고도 이용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하철 환승을 위해 동선을 안내해주는 '교통약자 환승지도'도 장애인과 비장애인들이 직접 휠체어를 타고 지하철 곳곳을 누벼 탄생했는데요, 휠체어 사용자뿐 아니라 유아차를 끌고 다니는 부모님들도 많이 이용한다고 합니다. <br /> <br />이렇게 장애인들의 20년 투쟁으로 비장애인들도 혜택을 누리고 있지만, 오늘도 장애인들은 거리로 나와 투쟁을 했습니다. <br /> <br />여야 할 것 없이 모든 서울 시장들은 지하철 엘리베이터를 100% 설치하겠다고 약속했지만 지켜지지 않았고, 저상버스 도입률은 27.8%에 그치고 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교통약자를 위한 시설은 급격하게 노령화 시대로 접어드는 우리 사회의 미래를 위한 투자이기도 합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장애인 활동가 이형숙 님은 최근 '장애인의 속도가 이것밖에 안 돼서 죄송하다'고 사과하기도 했는데요. <br /> <br />문재인 대통령은 오늘 '우리는 느린 사람을 기다려줄 수 있는 세상을 만들어야 한다'며 '장애인 이동권에 무관심했던 것을 자책해야 한다'는 글을 올렸습니다. <br /> <br />뉴스가 있는 저녁, 윤보리 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윤보리 (ybr0729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0420194413681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